/
메세지 : X connection to localhost:13.0 broken (explicit kill or server shutdown). [5]
메세지 : X connection to localhost:13.0 broken (explicit kill or server shutdown). [5]
메세지 : X connection to localhost:13.0 broken (explicit kill or server shutdown).
2008-01-09 15:52 - hany24
엊그제까지 잘 되던것이 어제 컴퓨터 포멧 후에
icfb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뜹니다.
13.0이 12.0으로 뜰 때도 있습니다.
상당히 시급한 사항인데 도와주세요 ㅠㅠ
그림파일을 첨부합니다.
Last login: Wed Jan 9 14:59:58 2008 from 221.147.91.117
[hany24@RFADLAB1 ~]$ cd pdk
[hany24@RFADLAB1 ~/pdk]$ icfb&
[1] 25343
[hany24@RFADLAB1 ~/pdk]$ X connection to localhost:13.0 broken (explicit kill or server shutdown).
[1] Exit 1 icfb
icfb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뜹니다.
13.0이 12.0으로 뜰 때도 있습니다.
상당히 시급한 사항인데 도와주세요 ㅠㅠ
그림파일을 첨부합니다.
Last login: Wed Jan 9 14:59:58 2008 from 221.147.91.117
[hany24@RFADLAB1 ~]$ cd pdk
[hany24@RFADLAB1 ~/pdk]$ icfb&
[1] 25343
[hany24@RFADLAB1 ~/pdk]$ X connection to localhost:13.0 broken (explicit kill or server shutdown).
[1] Exit 1 icfb
Re: 메세지 : X connection to localhost:13.0 broken (explicit kill or server shutdown).
2008-01-09 16:09 - 넷사랑
안녕하세요. 넷사랑컴퓨터 기술지원입니다.
보내주신 스크린 샷을 보니 Xmanager가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다음의 사항을 확인해 보십시오.
1. 사용하는 세션 프로파일에서 SSH 설정 버튼
2. 터널링 탭 클릭
3. X11 포워딩 부분에서 Xmanager가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
위의 사항을 확인해보시고, 또 Xmanager Enterprise를 새로 설치하면서 변경된 사항이 있는지 다시 한번 점검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보내주신 스크린 샷을 보니 Xmanager가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다음의 사항을 확인해 보십시오.
1. 사용하는 세션 프로파일에서 SSH 설정 버튼
2. 터널링 탭 클릭
3. X11 포워딩 부분에서 Xmanager가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
위의 사항을 확인해보시고, 또 Xmanager Enterprise를 새로 설치하면서 변경된 사항이 있는지 다시 한번 점검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Re: 그래도 안돼요 ㅠㅠ 다시한번 봐주세요.부탁합니다.
2008-01-09 16:13 - hany24
네 설정은 처음부터 Xmanager로 포워드 할수 있게끔 세팅되어있었습니다.
이번엔 17.0으로 뜨네요 ㅠㅠ
다시 한번 부탁드립니다. 오늘 저녁까지 해야할 일이 있어서요 ㅠ
이번엔 17.0으로 뜨네요 ㅠㅠ
다시 한번 부탁드립니다. 오늘 저녁까지 해야할 일이 있어서요 ㅠ
Re: Re: 그래도 안돼요 ㅠㅠ 다시한번 봐주세요.부탁합니다.
2008-01-09 16:29 - 넷사랑
안녕하세요. 넷사랑컴퓨터 기술지원입니다.
Xmanager로 X11 포워딩이 설정되어 있다면, Xmanager의 자동 끝내기 옵션 때문에 그러한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Xmanager의 해당 세션 프로파일을 살펴보시고, 자동 끝내기 옵션이 켜져 있다면 끈 후에 다시 한번 시도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localhost 뒤에 붙는 숫자의 의미는 Xmanager가 통신하려는 포트 번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실행되는 순간에 사용할 수 있는 포트가 계속해서 바뀔 수 있기 때문에 문제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Xmanager로 X11 포워딩이 설정되어 있다면, Xmanager의 자동 끝내기 옵션 때문에 그러한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Xmanager의 해당 세션 프로파일을 살펴보시고, 자동 끝내기 옵션이 켜져 있다면 끈 후에 다시 한번 시도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localhost 뒤에 붙는 숫자의 의미는 Xmanager가 통신하려는 포트 번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실행되는 순간에 사용할 수 있는 포트가 계속해서 바뀔 수 있기 때문에 문제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Re: Re: Re: 그래도 안돼요 ㅠㅠ 다시한번 봐주세요.부탁합니다.
2008-01-09 16:56 - hany24
자동끝내기 옵션도 체크상태가 아닙니다 ㅠㅠ
언인스톨하고 다시 깔아봐도 안됩니다.
한가지 또 이상한점은 언인스톨 후 다시 인스톨했는데도 기존에 저장한 세션들이 남아있다는겁니다. 완전히 깨끗하게 지울수 있는 방법으로 지우고 다시 인스톨해보고싶어요
언인스톨하고 다시 깔아봐도 안됩니다.
한가지 또 이상한점은 언인스톨 후 다시 인스톨했는데도 기존에 저장한 세션들이 남아있다는겁니다. 완전히 깨끗하게 지울수 있는 방법으로 지우고 다시 인스톨해보고싶어요
Re: Re: Re: Re: 그래도 안돼요 ㅠㅠ 다시한번 봐주세요.부탁합니다.
2008-01-09 18:01 - 넷사랑
X 응용프로그램이 Xmanager와 X11 터널을 통해 연결을 하는 과정에는 사용자 제어를 하기 위해 MIT Magic 쿠키를 사용합니다. Xshell이 서버에 접속을 할 때 X11 포워딩을 위한 쿠키 설정을 먼저 시작하나 이 쿠키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 위와 같은 증상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 사용자의 홈디렉토리에 있는 .Xauthority 파일을 삭제한 후 다시 시도해 보십시오. 또한 쿠키를 기록하는 과정에서 임시 파일이 생깁니다. 임시 파일이 삭제되지 않고 남아서 쿠키를 처리하는 과정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Xauthority-c, .Xauthority-l이라는 파일이 있으면 이 또한 삭제한 후 사용해 보십시오.
사용자의 홈디렉토리의 사용권한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도 문제가 계속된다면 SSH 서버를 재 구동해 보시는 것도 권해 드립니다.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다시 문의하시고자 한다면 다음 정보를 알려 주십시오.
1. 사용하시는 유닉스/리눅스의 종류와 버전
2. 다른 사용자로 접속했을 경우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지 여부
감사합니다.
이럴 경우 사용자의 홈디렉토리에 있는 .Xauthority 파일을 삭제한 후 다시 시도해 보십시오. 또한 쿠키를 기록하는 과정에서 임시 파일이 생깁니다. 임시 파일이 삭제되지 않고 남아서 쿠키를 처리하는 과정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Xauthority-c, .Xauthority-l이라는 파일이 있으면 이 또한 삭제한 후 사용해 보십시오.
사용자의 홈디렉토리의 사용권한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도 문제가 계속된다면 SSH 서버를 재 구동해 보시는 것도 권해 드립니다.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다시 문의하시고자 한다면 다음 정보를 알려 주십시오.
1. 사용하시는 유닉스/리눅스의 종류와 버전
2. 다른 사용자로 접속했을 경우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지 여부
감사합니다.
이전 조회수: 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