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ix/Linux가 인터넷 공유기나 사설망(Private Network)과 같은 NAT 시스템 내에 있을 때 Xmanager로 접속하고 싶습니다.

Unix/Linux가 인터넷 공유기나 사설망(Private Network)과 같은 NAT 시스템 내에 있을 때 Xmanager로 접속하고 싶습니다.

Unix/Linux가 방화벽(Firewall)이나 NAT 시스템 내부에 있고 PC가 그 외부에 있다면 Xmanager는 그 Unix/Linux에 직접 접속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경우 다음 두 가지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 Xmanager를 이용한 XDMCP 접속
  • Xstart 접속을 이용한 X 응용 프로그램 실행



Xmanager를 이용한 XDMCP 접속

Step 1: XDMCP를 사용하기 위한 UDP 177번 포트를 포워딩해야 합니다.

포트 포워딩은 NAT 서버의 포워딩을 위해 설정된 UDP 포트로의 접속을 Unix/Linux(목적지 장비)의 UDP 177번 포트로 전환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집니다. 

(NAT, UDP 177) -> (Unix/Linux1, UDP 177)
(NAT, UDP 178) -> (Unix/Linux2, UDP 177)
(NAT, UDP 179) -> (Unix/Linux3, UDP 177)
. . .

Step 2: XDMCP 접속을 하기 위해서는 연결할 호스트 주소를 NAT 서버의 주소로 지정해야 합니다. 

  1. Xmanager에서 XDMCP 세션(고정 세션)을 생성합니다.
  2. 위에서 생성한 세션의 등록정보를 열어 [XDMCP] 부분의 [호스트]에 NAT 서버의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3. [포트 번호]에는 목적지 장비에 각각 지정된 NAT 서버의 포트 번호(위 예의 177, 178 또는 179 등)을 입력합니다.
  4. [확인]을 눌러 저장한 후 세션을 실행합니다.




Xstart 접속을 이용한 X 응용 프로그램 실행

Xstart의 Telnet 또는 SSH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2단계 로그인을 한 후 X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Unix/Linux까지의 접속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집니다. 

PC --(SSH/Telnet)--> NAT 서버 --(SSH/Telnet or 포트 포워딩)--> Unix/Linux--(디스플레이 요청)--> Xmanager



Case 1: NAT 서버가 Telnet/SSH 클라이언트 등 원격 접속 툴이 있는 Unix/Linux인 경우

  1. Xstart에서 [호스트]에 NAT 서버의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2. NAT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프로토콜과 사용자 정보를 입력합니다.
  3. 실행 명령에 XTERM_PATH/xterm -ls -display $DISPLAY를 입력한 후 세션을 실행합니다.
  4. 실행된 xterm 창에서 최종 목적지 Unix/Linux로 로그인합니다.
  5. 다음 명령으로 DISPLAY 환경변수를 설정합니다.
    $export DISPLAY=PC_IP_ADDR:DISP_NO
    위 디스플레이 번호 DISP_NO는 구동 중인 Xmanager의 디스플레이 번호를 입력합니다.
  6. 사용하고자 하는 GUI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합니다.
    Ex)   $xclock&
    * Xstart의 명령어 태그를 사용하면 위의 과정을 하나로 줄일 수 있습니다 
    Ex) SSH 프로토콜의 경우 Xstart 실행 명령란에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입력합니다.
    ssh 사용자명@최종 목적지 장비 IP 주소<%CR%><%WAIT="assword"%><%SEND="패스워드"%><%CR%><%SEND="/usr/bin/X11/xclock -display $DISPLAY"%><%CR%>
    자세한 설명은 Xmanager 도움말 ‘명령어 태그’를 참조하십시오.


Case 2: NAT 서버가 원격 접속 툴이 없거나 Unix/Linux가 아닌 기타 장비일 경우

  1. NAT 서버에서 목적지 장비의 Telnet/SSH 포트(기본값은 각각 23번, 22번 포트)를 최종 목적지 Unix/Linux의 Telnet/SSH 포트로 포트 포워딩 합니다.

    Ex) NAT 서버:23 --> 목적지 장비1:23
        NAT 서버:24 --> 목적지 장비2:23
        . . .
  2. Xstart에서 [호스트]에 NAT 서버의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3. [프로토콜]은 1번 과정에서 포트 포워딩한 프로토콜을 선택한 후 NAT 서버가 포트 포워딩을 하기 위해 준비 중인 포트번호(목적지 장비에 따라 위 예의 23 혹은 24)를 입력합니다.
  4. 최종 목적지 Unix/Linux의 사용자 계정과 비밀번호를 [사용자]와 [비밀번호]에 입력합니다.
  5. 실행 명령에 XTERM_PATH/xterm -ls -display $DISPLAY를 입력한 후 세션을 실행합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Unix/Linux의 xterm을 실행한 후 다른 여러 X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Xstart를 이용한 접속으로 CDE나 GNOME/KDE 환경을 얻으시려면 다음의 FAQ를 참고하십시오. 


PC 또한 공유기나 사설망으로 구성된 환경에 놓여 있다면 PC 쪽에서도 다음 FAQ의 내용대로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Related content

PC가 인터넷 공유기나 사설망(Private Network)과 같은 NAT 시스템 내부에 있을 때 Xmanager를 사용하고 싶습니다.
PC가 인터넷 공유기나 사설망(Private Network)과 같은 NAT 시스템 내부에 있을 때 Xmanager를 사용하고 싶습니다.
More like this
NAT 시스템 내부에서의 사용 [1]
NAT 시스템 내부에서의 사용 [1]
More like this
Xmanager 사용 시 방화벽의 포트는 어떻게 설정해 주면 되나요?
Xmanager 사용 시 방화벽의 포트는 어떻게 설정해 주면 되나요?
More like this
XDMCP 연결 오류 [1]
XDMCP 연결 오류 [1]
More like this
세션 관리ᅠ
세션 관리ᅠ
More like this
세션 관리ᅠ
세션 관리ᅠ
More like this